한국 3분기 경제성장률 다행인 이유?
민간소비 1.9%, 설비투자 5.0% 수입이 5.8% 급증했고 순수출은 성장률을 1.8%p 낮췄다.
한은은 4분기에 0% 성장만 해도 올해 2.6% 달성.하반기 소비 둔화 가능성도.
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민간소비가 늘고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설비투자도 증가해 3분기(79월) 한국 경제가 0.3% 성장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CsM/btrPEDuTsX9/CI5GYDtLxB05TjKmyN7BI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Ff47/btrPE6cykwF/LDlr5vzDYPJqKs2bYppJ0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Sx33/btrPGe14rxh/QtE5jTKUHckPGW4PdhK4yk/img.jpg)
3분기 경제성장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VcZg/btrPDHxP2RE/hKCLsgjF4ie8bIiB6q4r5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YXSv/btrPDHLi06v/oVlOKxYByjpqw3sRFpyYg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6nTl6/btrPFbY2jJk/ujC25RZESF8ZdyoENv5qUK/img.jpg)
시장 예상보다 높은 성장률로 남은 4분기에 상당폭의 역성장만 피하면 한국은행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(2.6%)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.
그러나 수입이 수출보다 크게 늘면서 순수출은 전체 성장률을 2%포인트(p) 가까이 끌어내렸다. 최근 무역수지 적자 상황이 결국 경제성장에도 타격을 준 셈이다.
더구나 하반기에는 금리·물가상승 등으로 소비 증가세까지 더뎌질 수 있다는 게 한은의 전망이다.
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(GDP) 성장률(속보치·전기 대비)이 0.3%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b4Jg/btrPDBKX5pQ/T9uUPBfNYkTcqlY1q4ck4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NWul/btrPDlBDniW/wkkJTi6pt3M8kyhoczlMH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8S4r/btrPEDaCj1R/Q3sOKXAmXLXkBRkAkE9Xuk/img.jpg)
3분기 경제성장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bdoSc/btrPFYdYly2/nd4hfi1LK11QLQMjJF6kQ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n6H6/btrPDz7woE0/mKPByTocGNl4KPANXsOJo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AcV3/btrPID76bsH/CpG85wlDJm15BmfRt4e0N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nNcs/btrPDHq1oOv/HeETVRWeon7clfe1qmPAc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AS0b/btrPFx10Ow9/QxkVK8eZdGVTKkKQsqW8ok/img.jpg)
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(-1.3%)와 2분기(-3.0%)는 마이너스(-)를 기록한 뒤 3분기(2.3%), 4분기(1.2%)와 2021년 1분기(1.7%), 2분기(0.8%), 3분기(0.2%), 4분기(1.3%), 올해 1분기(0.6%), 2분기(0.7%)에 이어 이번까지 9분기 연속 성장을 유지했다.
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승용차 등 내구소비재와 음식숙박 등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1.9% 증가했다.
설비투자의 경우 반도체·디스플레이 장비 등 기계류와 선박 등 운송장비가 모두 늘어나 5.0%나 성장했다.
건설투자도 비거주용 건물 건설 확대와 함께 0.4% 늘었고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을 중심으로 0.2% 증가했다.
수출은 반도체 침체에도 불구하고 운송장비·서비스 수출 호조로 1.0% 늘어 2분기 마이너스 성장(-3.1%)세에서 벗어났다.
그러나 원유 기계장비 중심의 수입 증가율(5.8%)은 수출의 약 6배에 달했다.
3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기여도는 각각 0.9%포인트, 0.4%포인트로 분석됐다. 그래서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3분기 성장률을 높였다는 의미다.
반대로 순수출은 성장률을 1.8%포인트 끌어내렸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L33O/btrPEDVX2v4/Sn1GtvCcioH02KbQQJ3Qc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JG7M/btrPFdP5BjM/eutFesMywjKLBKudJd59X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VoMy/btrPIInWgTM/FmEKAngctKcKQWmKQe4Kc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osaO/btrPGdvkqZ2/qwDIg3L3yHhv0gLnYKscs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GaXhU/btrPEox0NO1/wxwtxIiKYcizhAafGqfzi0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GdOoZ/btrPGe1414N/fakGk4zlnDsvx4pfDLfEA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RbAWL/btrPGP8Xbqn/8Fec3BoKPKUYHmZEBPEbf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Sel6/btrPFDHMy7e/bqB7yxPXvkEWBXJxl94N6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nxA9g/btrPEDIrb5f/UhLPbK7a7nYKEknOOWtMC1/img.jpg)
업종별로는 농림어업 건설업 서비스업이 각각 5.5%, 1.8%, 0.7% 늘었다. 특히 서비스업 가운데 문화·기타(3.3%), 금융·보험(2.3%), 도소매업·숙박, 음식(2.2%) 등의 성장률이 높았다.
그러나 제조업의 경우 1.0% 후퇴했다. 컴퓨터, 전자·광학기기, 화학제품 등이 감소한 영향이다.
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(GDI)은 1.3% 감소했다. 실질 GDP가 0.3% 늘었지만 전반적으로 원유 등 수입가격이 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보다 높아지면서 교역조건이 나빠졌기 때문이다.
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"산술적으로 4분기 성장률이 0% 중심으로 소폭 마이너스나 플러스 범위에 있다면 연간 성장률이 한은 전망치 2.6%를 달성할 수 있다"고 설명했다.
4분기 전망에 대해서는 "이달 20일까지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드는 등 수출은 약해지고 있지만 불확실성이 큰 상황"이라며 "민간소비의 경우 회복세가 이어지겠지만 금리와 물가상승 요인이 있어 회복 속도는 완만해질 것 같다"고 말했다.